인간은 언제나 정신적 안정상태를 유지하기를 희망하지만, 살아가면서 성적 충동, 공격적 충동, 적개심, 원한, 좌절감 등의 여러 요인에서 오는 갈등을 경험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인간은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고 갈등을 일으키는 충동을 타협시키고 내적 긴장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적 기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자아가 이와 같은 갈등과 불안에 대응하고 대처하면서 활용하는 심리적 책략들을 자아 방어기제 (ego defense mechanism)이라고 합니다. 자아 방어기제는 정신 내적 갈등의 원천을 왜곡, 대체, 차단하는데, 이는 무의식적으로 채택되며 대부분 한 가지 이상의 방어기제가 동시에 동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자아 방어기제는 불안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므로 정상인들도 자주 사용하게 되며, 자아 방어기제의 사용이 사회 적용을 도모하고 정신건강을 향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불안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아 방어기제는 정신 병리적 기능도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하게 되면 심각한 정신병리를 야기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자아 방어기제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하여 다른 자아 기능의 발달에 투입되어야 할 정신에너지를 고갈시키기 때문입니다. 현실 생활에 잘 적응하는 사람은 자아 방어기제를 융통성 있고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한두 가지 방어기제만을 편중적이고 과학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프로이트의 딸인 Anna Freud(1965)는 사이 방어기 제가 정상적인지 또는 병리적인지는 ① 한가지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 혹은 여러 가지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지와 관련된 균형, ② 방어의 강도. ③ 사용한 방어기제의 연령 적합성, ④ 위험이 사라졌을 때 사용한 방어기제를 철회할 수 있는 가능성이라는 네 가지 요소를 근거로 판단하여야 한다고 했다. 프로이트가 특별히 관심을 가졌던 방어기제들은 퇴행 억압, 반동형성, 투사, 합리화 등입니다. Anna 프로이트는 특징적인 방어기제 간에는 위계적 서열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정신분석 이론에서 제시된 주요 자아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억압
억압(repression)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무의식적 정신기제입니다. 억압을 통해 자아는 고통스럽거나 위협적인 충동, 감정, 소원, 환상, 기억 등을 무의식 속으로 추방해 의식화되는 것을 막아줍니다. 특히, 죄책감이나 수치심 또는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경험일수록 억압되기 쉽습니다. 그 전형적인 예가 기억상실이며, 하기 싫고 귀찮은 과제를 하지 않고 '깜박 잊었다'고 말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와 유사한 방어기 제가 바로 억제 (suppression)인데,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욕구나 기억을 의식적으로 잊으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무의식적인 억압과 구별됩니다. 예를 들어 실연, 창피를 당한 기억을 머리에서 지우려 하는 경우는 억압이 아닌 억제입니다.
2) 반동형성
반동형성(reaction fonnation)도 억압과 마찬가지로 어떤 충동을 의식에서 추방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반동형성은 용납할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을 정반대의 감정이나 행동으로 대체시켜 표현하는 방어기제입니다. 이러한 반동형성의 방어기제는 '미운 놈에게 딱 하나 더 준다'는 속담에 잘 반영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기를 학대하는 남편 앞에서 그를 매우 사랑하는 것처럼 행동하는 것, 어떤 사람에 대해 지독한 증오심이 있음에도 예의 바르게 행동하고 관심을 보여 주는 태도 등입니다.
3) 퇴행
퇴행(regression)이란 실패 가능성이 있거나 불안한 상황에 대한 해결책으로 초기의 발달단계나 행동양식으로 후퇴하는 것입니다. 그 예로 동생이 태어나 부모의 관심이 동생에게 집중되자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고 대소변을 못 가리는 네 살 어린이의 경우, 중병에 걸려 입원한 어른 환자가 간호사에게 아이같이 졸라대는 모습 등을 들 수 있습니다.
4) 동일시
동일시(identification)란 용납할 수 없는 충동 그 자체는 부정하고 그 충동을 가진 사람 또는 그 사람의 일면과 동일화하여 받아들이는 과정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강한 공격적 충동을 억압하고 있는 사람이 강력하고 공격적인 히틀러와 같은 사람과 동일시하거나, 아버지를 무서워하는 아들이 그 아버지를 닮아가거나, 강한 성적 욕망이 있는 여자가 화려한 여배우와 동일시하는 것 등입니다. 어떤 이상과 공생하려고 노력함으로써 권력을 쥐고 있는다는 느낌을 얻기 위해 애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병적 동일시라 합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어렸을 때 부모의 충격적인 이별을 경험한 경우에 부모 역할에 대해 병적 동일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자기 자녀들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는 태도를 시이게 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5) 보상
보상(compersation)은 심리적으로 어떤 약점이나 제한점이 있는 사람이 이를 보상받기 위하여 다른 어떤 것에 몰두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보상이라는 방어기제를 흔히 사용하는 사람들은 사회적 칭찬을 받는 경우가 많으나 때로는 신경증적 욕구에 대한 보상일 수 있다는 점도 알아두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자신의 친부모에게 효도하지 못한 사람이 이웃의 홀로 된 노인을 극진히 부양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6) 합리화
합리화(rationalization)는 아주 빈번히 사용되는 방어기제로서 우리가 인식 · 의식하지 못하는 동기에서 나온 용납할 수 없는 충동이나 행동에 대해 지적으로 그럴듯한 설명이나 이유를 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의 잘못을 선생님께 보고한 것은 내가 그렇게 해야 할 의무 때문이었다고 이유를 들지만 경쟁에서 이기려고 하는 욕망이 실제적인 이유입니다. 이러한 합리화의 방어기제에는 ① 어떤 목표를 달성하려 했으나 실패한 사람이 자신은 처음부터 그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변명하는 신포도(sour grapes) 형, ②자기가 현재 가지고 있는 것이야말로 바로 그가 원하던 것이라고 스스로 믿는 달콤한 레몬(sweet lemon) 형 ③ 자신의 결함이나 실수를 자기 이외의 다른 대상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투사(projection)형, ① 원하는 일이 마음대로 되지 않을 때 자기 능력에 대해 허구적 신념을 가짐으로써 실패의 원인을 합리화시키는 망상(delusion)형 등이 있습니다.
댓글